글은 씨네21에서 무단으로 퍼왔습니다. 문제가 될 시에는 바로 삭제하겠습니다.

게임의 법칙

정윤수 칼럼

싸움에는 법도가 있다. 물론 친구가 친구의 배에 연장을 담그고 동네 양아치 이강재가 똘마니들 뒤통수를 연탄으로 까는 것이야 영화 속의 싸움이므로 논외다. 그런 관계를 ‘친구’라고 할 수 있는가라는 탄식은 절실하긴 하지만 아쉽게도 옆집에 가서 물어봐야 할 문제다. 싸움에 법도가 있다는 것은 이를테면 루쉰(魯迅)의 글로 확인된다. ‘물에 빠진 개는 때려야 한다’는 루쉰의 주장이 그것이다. 군벌 잔재와 반개혁세력에 대하여 린위탕(林語堂) 등이 이른바 화해와 용서의 ‘페어플레이론’을 내세웠을 때 루쉰은 어떤 경우라도 물에 빠진 개는 때릴 수밖에 없다고 강론한 바 있다.

그 논설의 핵심을 추존하면서도 잠시 곁눈으로 읽을 때 루쉰의 절묘한 매력이 따로 발견된다. 그러니까 루쉰은 물에 빠진 개를 운운하면서 싸움의 법도에 대하여 말한다. 만일 송능한 감독이 <넘버.3>의 속편을 찍는다면 불사파의 강론장면에 인용할 만하다. ‘땅에 쓰러진 상대는 더이상 때리지 않는다’거나 ‘상대방의 수법을 상대에게 적용하라’는 경구는 일체의 감정 개입이 필요없는 담백한 맛을 제공한다. 요컨대
싸움에는 법도가 있는 것이다. 만일 그것이 논쟁적 사안일 경우 더욱 그렇다. 누군가의 표현처럼 핵폐기물이나 네오나치 문제라면 머리띠부터 매야되겠지만 정반합의 룰 아래 영원히 푸르른 생명의 소나무를 찾아내기 위한 논쟁이라면 더욱이 법도는 소중하다.

최근 <조선일보>는 이 점에서 반면교사가 되었다. 물론 ‘<조선일보>이기 때문에’라는 혐의는 미리 가질 필요가 없다. 그 논쟁은 문학면에서 전개되었고 그 마무리가 용두사미였으며 뒤늦게 다른 자리에 판관들을 모아 논쟁의 한쪽 주장을 공식화했기 때문에 반칙이라는 얘기다.

주제는 ‘본격문학 대 대중문학’. 장르 연구가 목적이 아닌 곳에서 문학 앞에 이러한 수식이 붙을 경우 대개 논쟁은 개념을 둘러싼 반론의 연속이기 쉽다. ‘순수-참여’논쟁이 그렇듯이 ‘본격/대중’의 구도 또한 불철저한 구도다. 이 의제는 다시 ‘문학의 운명’,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영상세대와 문자의 사멸’ 등과 맞물리면서 요 몇해 꾸준한 관심거리가 되었고 이에 대한 적지 않은 글이 제출된 바 있다. 다양한 견해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화장실에 모니터를 들고 갈 수는 없다’는 정도는 합의한 바가 아닌가 싶다.

중요한 것은 <조선일보> 문학팀의 불공정한 게임이다. 처음에 그것은 이용범, 정과리, 이인화, 조창인, 박상우, 김정환 등이 짧은 지면에서나마 서로의 견해를 치고받는 것으로 시작했다. 인사동 분위기를 혐오하는 나로서는 문인들이 이 논쟁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알 길이 없으나 <조선일보> 기사에 의하면 ‘일반독자는 물론 문학전문 독자도 다양한 반응’이 나왔다고 한다. 다양하다니, 좋은 일이다.

그런데 문제는 그 다음에 일어났다. 534년이 지난 뒤에도 남게 될 위대한 소설 <관촌수필>의 작가에게 수상하면서 논란을 일으켰던 동인문학상 심사위원들이 2회 수상작품 예심을 하면서 이 논쟁을 다시 꺼냈는데 <조선일보> 문학팀이 정리한 참석자들의 최종 견해는 대단히 위험한 상태였다. 판관들의 요지는 ‘대중문학을 문학의 한 파트너로 삼아 논의한다는 것 자체가 불필요’하며 ‘대중-통속소설을 붙들고 싸워주는 것만도 그들을 격상시켜주는 결과’이고 차제에 ‘대중문학을 아예 없는 것으로 치부하는 해외 본격문단의 분위기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었다. 두명의 레이먼드, 그러니까 레이먼드 카버와 레이먼드 챈들러가 공존하는 예를 긍정하면서 동시에 우리에게도 서로 다른 관점에서 저 막막한 우주를 대하고 있는 박상륭과 이영도가 충분히 공존할 수 있으며 또한 그래야 마땅하다고 믿는 나로서는 어이없는 총결이라고 생각하는 대목이다.

그런데 가만히 보니 문제는 다른 데 있었다. 예의 논쟁에 시작부터 참여하여 두 차례나 글을 쓰면서 한쪽 견해를 주장했던 문학평론가 정과리 역시 심사위원의 한 사람이었다. 이건 반칙이다. <조선일보>라서 문제라는 게 아니다. 그들 말대로 이 논쟁이 ‘본격과 대중의 구분이 무의미해져가는 이 문화혁명의 시대에 작가의식과 글쓰기 철학은 있는가’ 하는 중차대한 상황 인식 끝에 나온 논쟁이라면 아직 논쟁은 진행중이며 그 결론 또한 나지 않았다. 어떤 점에서 이런 성격의 논쟁이란 그 결론이 영원히 유보적일 때 의미있는 것이다. 그런데 한쪽 당사자가 다른 자리에서, 그것도 박완서, 유종호, 김화영, 이문열 등과 더불어 ‘동네 애들하고 괜히 싸웠다’는 식으로 정리하는 것은 고의적인 백태클이다. 더욱이 정과리는 논쟁 과정에서 상대방의 비판문을 두고 ‘한참 열심히 길을 찾고 있는 사람에게 오물을 뿌리다니’라고 힐난하면서 ‘문학의 사활을 점검하는 소중한 자리’이므로 ‘논쟁의 규칙을 숙지’하고 ‘상대의 말을 경청해야 한다’고 쓰지 않았던가.

말의 단속을 소홀히 한 사람에게는 엘로 카드로 충분하지만 게임의 룰을 어기고 백태클을 한 사람은 명백히 퇴장감이다.

정윤수/ 문화평론가 prague@naver.com

  • CARLITO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2-11-24 17:03)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