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 정재은
출연 : 배두나, 이요원, 옥지영, 이은실, 이은주

혜주, 지영, 태희, 온조, 비류
이 다섯 인물들은 여상을 갓 졸업한 고양이들. 이 영화를 보기 전에 이미 이 영화를 이해하기 위한 코드들인 고양이의 속성에 대해 들어버린 탓인지 그녀들은 고양이로 보였다.
애완용 고양이도 완전히 야생의 습성을 버리지 못할 만큼 고양이는 무엇엔가(‘인간에게’라는 말이 더 적절할 듯 하다) 길들여지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할 만하다. 그러나 고양이가 길들여지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말이 자신을 길들이는 그 무언가와 자신의 관계가 실질적으로나 명목적으로나 단절되어 있다는 말로 풀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길들여진 것을 익숙해진 것, 세상에 맞설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고 나 자신을 내가 길들였다고 믿을 수도 있다. 그것이 실질과 어긋난 것이라 하여도, 착각에 머무른 생각이라 하여도 그 착각 안에서만큼은 고양이와 주인의 관계가 묘하게 동떨어져 있으면서도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어쨌든 길들여진다는 단어는 불편함과 답답함을 상기시킨다.
이 불편하고 답답한 현실 속에서 막 훈련 과정에 입소한 고양이들은 나름의 방식으로 주인과 충돌한다. 혜주는 주인의 착한 애완 고양이가 되거나 주인과 싸워 승리자가 되려고 하지만 결국은 주인에게 동화되되 결코 주인이 되지 못하고 따돌림당한다. 지영은 주인을 잃은 상처를 안고 자신이 자신의 주인이 되려 하지만 주인의 가혹한 지침과 통제 앞에서, 가뜩이나 손에 쥐고 있는 도구도 없는 상태에서 역부족임에 고통스러워 한다. 태희는 이들 사이를 착한 시선으로 오가면서 고양이에 관심을 가지고, 동시에 자신도 고양이임을 자각한다. 비류, 온조 자매는…직계 주인이 없는 고양이이되 완전한 야생 고양이는 아닌(그들은 화교 출신이다), 하지만 서로가 있어 서로에게 길들여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인이자 종일 수 있는 인물들이 아닌가 한다.

삭막한 길 모퉁이에 버려져(또는 그냥 그렇게) 있다가 지영에게 건져올려진 새끼 고양이 티티는 다섯 고양이의 품을 거쳐 가면서 그들의 야생성을 불러일으킨다. 자신만만하던 혜주가 지치고 더해가는 불행 속에서 지영이 침묵하고 자신이 지닌 관심과 애정에 비할 데 없을 만큼 무관심한 가족으로부터 태희가 탈출한다.(비류, 온조 자매는 이 이야기에서는 빠진다. 그들은 이 이야기의 윤곽보다 조금은 넓은 곳에 위치하는 것 같다)

그래서 태희는 평소 돈이 없어 실행 불가능하지만 항상 외국으로 떠나길 바라던 지영과 함께 주인의 영향권에서 벗어나는 것은 자신이 자신을 길들이는 고양이가 되고 싶음을 알리는 고백이다. 하지만 이 탈출은 해방이 아니다. 고양이는 타자에게 길들여지고 싶지 않다 하더라도 자신의 손으로 자신을 길들여야만 한다. 게다가 이 탈출 게임의 룰은 여전히 주인의 손 안에 있다. 탈출해도 다른 주인이 기다리고 있다. 더 끔찍한 것은 그들이 아무리 그렇게 발버둥 치더라도 주인은 필요할 때만 그들을 불러 만지작거리고는 보내버릴 뿐 그다지 그들에게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혜주는 괴로워하면서도 주인 품에 남아 있고 태희와 지영은 주인의 품을 떠나 자신이 주인되는 길을 찾으려 하며 비류, 온조는 지영과 태희의 손을 거친 새끼 고양이 티티를 데리고 여전히 관심권 밖의 공간에서 멤돌 것이다. 남아 있거나 떠나거나, 주변에서 멤도는 이 고양이들은 주인과 정면 대결을 하지 못했다.
나도 떠나 버리고 싶다. 하지만 떠나도 주인은 여전히 존재하고, 그럼으로써 나는 패배를 우회해서 인정하는 것은 아닐까. 그래서 주저한다. 그렇다고 내가 태희와 지영을 비판할 수는 없다. 나는 어쩌면 그들보다 더 주인을 두려워하고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에.

고양이를 부탁해”에 대한 한 개의 댓글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