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 박흥식
출연 : 전도연, 설경구, 진희경

한 인간이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목적이, 그 존재의 의미는 어디에 있을까? 질문이 너무 거창한가? 누구는 그 목적이 있고 그것을 향해 돌진하는 게 삶이라고도 하고 누구는 현재 존재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의미이다라고도 말 할지도 모른다. 그 알지 못할 존재의 의미에 대해 제각기 해답을 찾으려 하고 예술도 다양한 방법으로 그것의 열쇠를 찾으려고 애쓰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멜로 영화는 인간이라는 존재의 목적은 자신이 진정으로 사랑하고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해 주는 이성을 발견하고 그 사랑을 이루고 지켜 나가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야기한다. 세상 존재의 모든 의미는 남주인공과 여주인공 두 인물의 포커스 주변에서 그들을 기쁘게 하기도 슬프게 하기도 하고 동시에 그들의 기쁨과 슬픔을 대변해 주기도 한다.
멜로 영화는 사랑이라는 애매하고 광범위한 말의 유효지대를 한 남자와 한 여자의 사랑으로 축소해 놓고 이 두 남녀가 어떤 고난과 갈등을 극복하고 사랑이라는 목적지를 향해 돌진하여 골인하는지에 모든 관심이 곤두서 있다. 이 안에서 모든 것은 그들의 사랑을 축복해 주기 위해, 또는 저주하기 위해 기능한다.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다’
이 영화에 대해서 소개하는 글들을 읽어보면 우리가 쉽게 지나치고 잊어버리는 일상의 세세한 묘사로 그 일상의 아름다움을 잘 포착해 낸 것을 이 영화의 미덕으로 내세우는 경우가 많더라.
그런데 나는 이 영화를 보면서 내내 그들의 눈에는 그것이 진정 일상으로 보였는지를 심각하게 의심하게 되었다.
그리 신날 일도 없고 매일 반복되는 패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일상 속에서 설경구의 그 무기력해진 표정은 일정 정도 아…그게 일상이구나라는 느낌을 가질 정도의 공감을 가져다 준다. 그러나 학교도 아니고 보습학원에서 말썽꾸러기 철없는 초등학생들을 가르치는 강사로 있는 전도연이 그렇게 매일 웃는 모습으로 즐거워 하고 작은 일들에서 환희를 느끼는 것 같은 그 낭만적으로 낙천적인 표정은 ‘자, 봐라. 일상은 전도연의 저 환한 표정처럼 지겨운 것이면서도 일면 경이로운 것들이다’라는 것을 과장광고하기 위한 오버액션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매일매일 모아두었던 동전을 예금하기 위해 한 움큼 들고 온 전도연이 동전을 은행 바닥에 어지러이 떨어뜨릴 때 벌어지는 해프닝이나 나뭇잎이나 꽃잎을 하나씩 뜯으면서 ‘기다, 아니다’를 점치는 것이나 요구르트를 입을 따서 먹는 게 아니라 꽁무니를 뜯어 구멍을 내서 먹는, 일상적이면서도 비일상적인 일들 그리고 생수를 사서 마시다가 남은 물을 꼭 화분에다 붓는 전도연의 습관에 대한 묘사 등은 지루하고 따분한 일상의 단면이라기 보다는 지루한 일상 속에 일어나는 작은 사건의 소묘라는 생각이 든다. 결국 이 영화의 컨셉은 ‘일상의 세밀한 묘사’가 아니라 ‘일상 속의 비일상에 대한 새로운 관찰’이 아닐까. 일상의 지루함에 활기를 주는 것은 이러한 작은 비일상적 행위와 사건들이고 결국 이 영화가 노리는 것도 지루한 일상의 거듭을 보여주는 화면에 따분해 할 관객들에게 적재 적소에 비일상적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이 무딘 일상의 화면에 활기를 불어넣게 하고 – 그것도 보통 사람들이 완벽히 ‘저건 나도 그런데’라는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소사건들로 – 동시에 전도연과 설경구의 사랑이라는 목적지까지 가는 따분한 여정이 실제로는 이렇게 작은 재미와 활력으로 힘을 얻는다는 것이 아닐까.
설경구가 CATV로 녹화된 테입들을 들여다보는 것도 그런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지 않을까. 돈을 찾거나 입금하기 위해 찾는 은행, 전혀 새로울 것 없는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는 그 공간에서 유독 기행(?)을 일삼는 사람들의 모습만 스크린에 담아주는 것 말이다. 또한 설경구가 마술을 배워 쇼를 보여주고 장래에 나타날 자신의 아내에게 미리 보내는 영상 편지를 찍어 두는 것도 그렇게 일상의 지루함에서 비일상의 특별한 느낌을 보상받기 위한 강한 욕구 아닌가.
어릴 적 아버지를 잃어버린 전도연이나 어머니를 여읜 설경구라는 인물 설정도 무언가 당연히 있어야 할 것이 결핍되어 있어 일상의 세밀한 포착이라는 컨셉에 어울리지 않는 것이 아닌가.(일상이라는 것은 그렇게 무언가의 결핍과 비슷한 속성의 것이라는 것을 말하고 싶었다면야…쩝)

어쨌든 이렇게 일상이라 하지만 실은 전혀 비일상적인 것들로 아름드리 채워진 이 영화의 곳곳은 과연 전도연과 설경구가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고 그 목적지에 다다를 수 있을까, 그리고 그들과 같이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에도 – 사실 이제 전도연이라는 배우 자체의 인지도나 미모(?)만으로도 그녀는 평범한 학원 강사 여성으로 볼 수가 없다. 아무리 안경을 씌운다 해도 – 그렇게 특별할 것 없는 사랑 이야기도 특별한 인물들의 판타스틱한 사랑만큼이나 아름다울 수 있을까를 보여주기 위해 부던히 애를 쓴다.
진희경의 느닷없는 등장과 소멸(?) 역시 이 둘의 사랑의 특별한 아름다움을 이루기 위한 소도구이다.(개연성 없이 나타나 개연성 없이 사라지는 진희경의 설정은 일면 당황스럽다)

장마진 여름날 한 시내 보도를 지나가는 우산들의 행렬 속의 초라한 한 남자 설경구의 우산을 수직 각도에서 내리 찍은 장면으로 시작된 이 영화는 두 사람이 오봇하고 다정스레 붙어 있을 단 하나의 우산을 찍은 장면으로 마무리한다. 이 개똥 철학 같은 내 영화 감상을 정리하는 의미에서 이 두 장면의 연관성을 내 나름의 억지 관점으로 해석하자면 이렇다. 우선 비내리는 날 우산을 쓰고 걸어가는 행인들을 찍는 카메라의 각도. 그것은 보통 사람들이 바라보는 눈의 위치에서의 각도가 절대 아니다. 일상적 시선이 아니라 비일상적 시선이다. 우리의 눈의 위치에서 그 우산 쓴 행인들의 행렬들은 다분히 어지럽고 방만해 보일 것이다. 그러나 수직 각도라는 비일상적 시선에서 그것은 가지각색의 – 노란 색 등 원색 계통의 우산을 주로 사용한 것 같다 –  원들이 스크린 한 쪽 끝에서 한 쪽 끝으로 이동하는 예쁜 모양이 된다. 여기서 이 영화 속의 미화되고 가공된 일상의 단면을 낚아챌 수 있다. 또 하나, 첫 장면은 무수히 많은 행인들의 어지러운 발걸음들, 우산의 어지러운 움직임, 그 안의 한 남자 설경구. 그리고 마지막 장면은 그 어지러운 움직임의 우산들은 사라지고 비로소 평화로이 움직이는 하나의 원, 우산. 그 안에 있을 설경구와 전도연. 무수히 많은 일상적 사람들 사이에서 낚아 챈 한 남자의 특별한 사랑. 그리고 사랑할 여자를 찾던 외로운 솔로 남자가 드디어 제 짝을 찾았다는 선언! 설경구의 빈자리를 메워 준 전도연.(여성 관객들…좀 씁쓸하지 않은가…)

결국 남는 생각은 이 영화가 일상을 충실히 담았다는 것은 광고를 위한 거짓말이며, 대중 상업 영화에서 지리한 일상을 그대로 담아낸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

너무 악담만 한다고? 사실 그렇게 일상 속의 비일상을 낚아챈 표현들은 징그럽지 않다. 귀엽고 피식 웃음을 유발한다. 그리고 그것이 이 영화에서 이성 간의 사랑이라는 영원한 멜로의 테마를 로맨틱 코메디처럼 이끌어가는 힘이 된다. 그것은 보는 이에 따라 미덕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을 일상의 특별함에 대한 세세한 묘사…라고 하는 것은 교묘한 오버의 판타지에 너무 몰입한 건 아닌가 하는 나만의 허황된 의구심이 든다는 말이다. 일상이 그렇게 지루하고 변화 없이 하품 나오고 자살하고 싶을 만큼이나 따분하지만은 않을 만큼 적당하게 비일상의 요소도 가지고 있으니 그것을 다시 한번 발견하는 것이 어떻냐, 그리고 사랑이라는 것도 그렇게 비일상의 요소와 같은 특별한 경험, 아니 그 이상일 수 있다…는 말…그냥 그렇다. 씨네21에서 오은하 아줌마의, 전혀 아름답지 못한 일상이라는 푸념처럼 말이다. 쓰다 보니 헷갈리는군. 일상 속의 비일상에 대한 세밀한 묘사…그럼 그건 일상의 묘사가 되나 비일상의 묘사가 되나…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