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 까트린느 브레이야
제작 : 장 프랑소와 르쁘티
촬영 : 요르고 아르바니디
출연 : 카롤린 듀세/사가모르 스테브넹/프랑수와 베를리앙/로코 시프레디
제작년도 : 1999년

프랑스의 여성 감독 까뜨린 브레이야가 만들어 외설 시비까지 이끌어 내었던 ‘로망스’는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기존 여성에 대한, 그리고 남성에 대한 관념이나 이미지를 전복시켜 표현한다. 주류 상업 영화에서 나타나는 남성의 성적 욕망과 여성의 대상화는 철저하게 그 자리를 바꾼다.

초등학교 교사인 마리는 모델인 남자 친구 폴을 깊이 사랑한다. 그러나 폴은 오랜 동거 기간 동안 마리와의 정신적인 사랑만을 유지하고 성적 관계는 계속 피한다. 마리는 사랑하는 폴에게서 육체적인 사랑을 나눌 수 없음을 절망하면서 성적 방황을 하게 된다. 까페에서 우연히 만난 파올로라는 중년 남자로부터 육체적인 사랑을 경험한 후 다시 자신이 일하는 초등학교 교장 로베르와의 사도 마조히즘까지 경험하면서 방황하던 마리의 자아 동일성은 주체적으로 재정립되고 자신을 외면하는 폴을 잔인하게 복수하는 것으로 영화는 끝난다.

이 영화에서 특기할 만한 점은 남성이 예전까지 그려졌던 애매모호한 존재로서의 여성과 다를 바 없이 묘사되고 여성이 오히려 내러티브의 중심에 서서 자기 의식의 명확함을 드러내면서 계속적으로 자기 내면에 질문하고 귀기울인다는 점이다. 폴은 그 뒤바뀐 남녀 표상의 한 쪽 극에 있다. 마리는 폴을 끊임없이 욕망하지만 폴은 마리를 진심으로 사랑하는지, 만일 사랑한다면 왜 그녀와 성관계를 맺으려 하지 않는지 알 수가 없고 왜 점점 그녀를 멀리하면서 개인적인 생활에 젖어드는 것인지, 그리고 왜 마리에게 사랑한다고 말하면서도 나이트 클럽에서는 다른 여자에게 끈적끈적한 시선을 보내면서 정복욕을 불태우는지 마리는 이해할 수 없다는 넋두리가 계속된다.
폴은 정말 이 영화에서 특이한 인물이다. 그는 성적 욕구를 지극히 통제할 수 있거나 또는 스스로 억압하면서 사랑이란 플라토닉이 진실한 것이라는, 사랑은 섹스 없이 가능하다는 생각을 하는 듯하다. 그러면서도 마리를 기만하고 다른 여자에 대한 정복욕을 품는 것을 보면 폴은 마리 또한 일종의 정복의 대상으로서, 이미 정복한 대상이므로 더 이상의 투자는 불필요한 것으로 생각하는 듯하다. 그러면서도 그는 마리에게 다른 여자는 만나지 않으며 성관계도 맺지 않는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실제로 그는 마리와 성관계를 맺지 않는 것처럼 다른 여자와도 성관계를 맺지 않을 것이다. 그에게 성적 욕망이란 과연 부재하는 것일까?
아마도 그에게 있어 성적 욕망은 정복욕이라는 것으로 대체된 듯하다. 그리하여 그는 여성이라는 존재를 성교할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정복할 대상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성교는 종족 번식이라는 인적 재생산을 위한 도구로서만 인지하는 듯하다. 그리고 그는 남성과 여성에 대한 관념이 차별적으로 구별되어 있다(이 영화에서 마리와의 유일한 성관계 장면에서 마리가 ‘내가 남자가 되고 당신이 여자가 되어’라는 성역할 교환 또는 뒤바꿈의 제안이 나오자 성관계를 거부하고 마리를 내팽개친다). 그에게 있어 남성·여성이라는 성(gender 또는 sex)에 대한 관념은 고정된 체계로서 전복 불가능하게 구분지워진 관념으로 자리잡은 것 같다.
추측하건대 그는 엄격한 교육(가부장제적 이데올로기 교육)을 통해 성적 욕망이 금기시되거나 억압받아 왔을 것이며 따라서 성이라는 것은 번식 이외의 의미를 잃어버리고 억눌린 성적 욕망을 정복욕이라는 일종의 폭력적·기만적 성향으로 대체시켰을 것이다. 따라서 그는 마리와 성적으로 대비될 뿐만 아니라 욕망에 대한 솔직함에 대해서도 대비되는 존재로서 상징되고 있는 것이다.

반면에 마리는 자신의 성적 욕망에 솔직하다. 그녀는 폴을 끊임없이 욕망하지만 그것은 폴의 관념 앞에서 좌절되고 그 좌절된 욕망은 다른 남성을 향하는 것이다. 그녀도 성적 욕망에 대하여 솔직하면서도 일종의 환상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그 환상이라는 것은 자신의 성적 욕구는 남성에 의해 수동적으로 충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마리는 계속 폴의 성기에 집착하고 손과 입으로라도 그것을 소유하려 한다. 이것을 여성의 거세 콤플렉스에 기인한 남성 성기에 대한 동경과 같은 방식으로 이해하는 것은 지나친 확대 해석일 것이다. 그 환상은 파올로와의 성관계, 건달에게 자신의 몸을 파는 행위, 그리고 로베르와의 사도마조히즘적 의식을 통해 욕망에 솔직할 수밖에 없는, 그리고 그 욕망은 스스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는 자각만이 남게 된다.

이 막다른 길에서, 또는 새롭게 열린 길에서 그녀는 자신의 욕구마저 억누르고 기만하려 하는 폴에 대해 처절하게 복수하는 길을 선택하는 것이며 자아에 대한 깨어있는 삶을 기약하는 것이다.

이 영화에서 까뜨린 브레이야가 말하려던 것은 아마도 여성도 남성만큼이나 자신의 욕구에 충실할 수 있고 또 그래야 한다는 것이 아닐까. 그 과정에서 과연 욕구는 억눌려야 하는가 자유로와야 하는가에 대한 반성을 유도하는 것일 테고, 동시에 거기에 대한 해답은 마리와 폴의 대립적 관계 속에 녹아 있는 것일 터이다. 그래서 이 영화는 기존 사회가 억압하거나 숨겨 온 여성의 성적 욕망마저 끄집어 내면서 인간이 스스로 억누르는 내면적 욕구에 귀기울일 때에 한 개별 인간을 이루는 정신은 건강함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니 우리를 억압하는 것들을 전복하자라는 도발적인 제안을 하는 것이다.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