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때까지 윤리 교과서는 묵자에 대해 겸애(兼愛)라는 단어 하나만 가르쳤다.
그 후로도 나는 묵자를 관심에 두지 않았다.
왠지 묵자의 가르침은 승자의 기록에 남을 수 없었던 것처럼 느껴진다.
영화를 아직 보지 못했지만 이 영화 때문에 묵자가 갑자기 궁금해진다.

[영화읽기] <묵공> 되살아난 묵자의 이상주의

체 게바라 등 행동하는 국제주의자의 모습 상기시키는 <묵공>

옛날 중국 춘추시대에 묵적(墨翟)이란 사내가 있었다. 성은 묵이요 이름은 적인 것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당시 다섯 가지 형벌 가운데 ‘묵형’이란 게 있었는데, 얼굴에 죄명을 먹과 침으로 찍어 넣는 비인도적인 신체형이었다. 묵적의 성 ‘묵’은 그가 묵형을 받은 뒤 이를 자기 성으로 삼은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그의 제자들은 그를 높여 묵자(墨子)라 불렀다.

그는 중국뿐 아니라 세계 사상사에서 매우 독특한 획을 그은 사상가다. 이천 몇 백년 전에 활동한 그는 오늘날 읽더라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철저한 사해동포주의를 제창했다. 어버이처럼 가까운 이부터 사랑한 뒤 이를 넓혀나가라고 가르친 공자의 인(仁)을 그는 ‘차별적인 사랑’(別愛)이라고 비판했고, “모든 사람을 차별없이 두루 사랑하라”(兼愛)고 가르쳤다. 그가 직접 쓴 것으로 보이는 <묵경>(墨經)에는 “여자 노예도 사람이다. 여자 노예를 사랑하는 것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남자 노예도 사람이다. 남자 노예를 사랑하는 것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이는 옳고도 자연스러운 주장이다”라는 삼단논법 닮은 명제가 나온다. 신분 귀천의 차별이 엄연하던 고대사회에서 사해만민이 평등하다는 주장을 편 묵자가 걸어가야 했을 가시밭길은 충분히 상상할 수 있다.

사랑의 혁명가인 묵자의 또 다른 독특한 주장은 “어떠한 침략전쟁에도 반대한다”(非攻)는 것이었다. 침략전쟁은 인민의 생명과 생활을 송두리째 파괴하는 재앙이기 때문이다. 묵자는 이런 주장을 목소리 높여 외치기만 한 게 아니라 실천에 옮겼다. 그는 전운이 감도는 나라를 방문해 침략전쟁을 그만둘 것을 설득했다. 설득에 실패하면 조직원들을 동원해 침략을 당한 나라의 편에 서서 방어전을 함께 치러주기도 했다. 그가 송나라를 침공하려는 초나라를 찾아가 전쟁을 막은 일화는 유명하다. 초나라는 무기 제작 분야에서 당대 최고의 명장이던 공수반(公輸盤)으로 하여금 공격무기를 만들도록 하고 있었다. 공수반을 찾아간 묵자는 허리띠를 풀어 성곽 모형을 만든 뒤 공수반의 공격무기를 어떻게 방어할 것인지 설명했다. 공수반이 아홉 가지 서로 다른 전술을 구사했으나 묵자는 이를 다 막아냈다. 시뮬레이션으로 치러본 전투에서 공수반이 이길 수 없음을 보여준 것이다. 이런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침략전쟁이 벌어지면 묵자학파의 조직원들은 침략당한 약소국으로 가 성을 지키는 방어전투에 참가했다. 묵자학파의 제자들이 스승의 언행을 기록한 <묵자>에는 이 때문에 ‘성문 방어전술’(備城門), ‘성벽 둑쌓기 공격 방어전술’(備高臨), ‘사다리 공격 방어전술’(備梯), ‘물 공격 방어전술’(備水), ‘돌출성곽 방어전술’(備突) 등 성곽 주변에서 적의 침략을 어떻게 방어할 것인지를 상세히 기록한 10여편의 문헌이 남아 있다.

오늘날 묵자와 그의 제자들이 살아 있었더라면, 가령 미국이 이라크를 침공했을 때 어떻게 했을까. 아마도 프랑스나 독일의 지도자들처럼 우아한 반대성명을 발표하는 데 만족하지 않고 모래바람 이는 바그다드로 달려갔을 것이다. 묵자와 그의 지지자들의 불꽃같은 삶의 행적은 파시스트에 맞서 공화정을 지키기 위해 세계 각지에서 몰려든 스페인 내전 때의 전사들이나, 쿠바 혁명에 성공한 뒤 ‘장관’ 자리에 안주하지 않고 무장투쟁이 벌어지고 있는 볼리비아의 밀림 속으로 다시 뛰어들어간 체 게바라 같은 행동하는 국제주의자들을 연상시킨다.

혼란의 시대, 묵자사상을 다시 보라

사족이 너무 길었지만, 장즈량 감독의 <묵공>(墨攻)은 춘추전국시대를 배경으로 제후국 사이의 전쟁에 끼어든 묵자학파의 자취를 스크린에 담은 기적 같은 작품이다.

영화는 서기전 370년, 강대국인 조나라가 10만 대군을 일으켜 약소국인 양나라를 치려는 데서 시작한다. 양나라의 성 안에는 겨우 4천명의 병력이 있을 뿐이다. 미국 대 이라크 이상으로 전력 차이가 나는 싸움인 셈이다. 양나라 군주는 교활하고 의심 많은 술주정뱅이다. 방어전투를 지원해준다는 묵자집단의 존재를 소문으로 알고 있는 양의 군주는 묵자집단의 지원군에 유일한 희망을 건다. 그러나 며칠 뒤 양나라 성에 도착한 묵자군은 검은 누더기를 걸친 혁리(유덕화)란 이름의 활동가 단 한 사람뿐이다. 검은색은 묵자집단을 상징하는 색깔이다. 혁리는 처음엔 짚을 깐 마구간의 구유를 숙소로 얻을 정도로 멸시당했지만, 양나라 백성들의 저항의식을 일깨우고 군주와 군사들에게 자신감을 불어넣으며 항전 대열을 갖춰간다. 그가 농성작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묵자집단의 사해동포주의는 배어난다. 혁리는 묵자집단이 농성투쟁을 펼 때 중시했던 옹성을 쌓을 것을 주장한다. 이미 조나라 대군에 포위당해 외부에서 석재를 들여올 수 없기 때문에 혁리는 왕궁의 외벽을 헐어내어 옹성을 쌓자고 군주를 설득한다. 이 긴급공사에는 귀족으로 구성된 기마병까지 노역에 동원된다. 왕궁 외벽을 헐어내면서 왕과 귀족과 평민과 노예의 벽까지 헐어내려 한 것이다.

영화의 볼거리는 대규모 병력을 거느린 조나라의 성 함락 전술과 이에 맞서는 혁리의 방어 전술이 제공한다. 조나라의 10만 대군을 거느린 항엄중(안성기)은 위력적인 장비와 압도적인 병력을 바탕으로 정규 공격을 통해 성을 함락하려 한다. 조나라 군대는 대량의 불화살 공격에 이어 당차(성문을 깨뜨리기 위한 고대 무기)로 성문을 깨고 해자(외성 둘레에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파놓은 웅덩이)를 넘어 옹성에 들어오지만, 이들을 기다린 건 끓는 머리 위에 매달린 거대한 유황 항아리들이었다. 옹성은 순식간에 유황 지옥으로 변한다. 영화는 혁리의 시점숏을 통해 갑옷에 불이 붙은 군사들이 숯덩이로 변해가는 이 아수라장이 바로 전쟁이라고 말한다. 혁리는 침략전쟁에 반대하기 위해 방어전투에 나섰지만, 어떤 명분으로든 전쟁은 결국 무고한 사람들을 죽음의 구덩이로 몰아넣는다는 딜레마를 풀지 못한다. 전쟁으로 전쟁을 끝낼 수 있는가.

박애주의자가 몰랐던 사랑의 딜레마

혁리는 이성적이고 냉철한 묵자집단의 전형적인 활동가다. 그는 누구의 선물도 받지 않고 재물을 탐내지도 않는다. 묵자집단은 실제로 엄격한 ‘철의 규율’을 갖추고 있었고, 규율을 어길 때는 무거운 처벌을 받았다. 이들은 묵자집단의 최고 경전인 <묵경>을 외우고 다녔는데, 여기에는 논리적인 훈련을 쌓기 위한 명제들과 더불어 사회와 자연에 관한 과학적 지식이 포함돼 있었다. 이 때문에 혁리 같은 묵자집단의 활동가는 두뇌가 명석하고 차가웠다. 혁리는 그를 따르는 양나라 기병부대의 여성 지휘관 일열(판빙빙) 때문에 또 다른 딜레마에 빠진다. 묵자집단에서 혁리는 ‘사해동포’를 ‘사랑’하라는 ‘겸애’에 대해서만 배웠다. 그러나 박애주의와 개인의 사랑은 양립할 수 없는 것인가? 내가 한 이성에 대해 사랑에 빠진다면 나는 박애주의의 원리를 배반한 것인가? 하기야 “네 이웃을 사랑하라”고 한 전지전능한 신의 아들 예수조차 로맨스의 능력은 없지 않았던가. 조직원 혁리는 일열에 대해 예수가 막달라 마리아 대하듯 할 수밖에 없었다.

일열은 늘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모범생활 사나이 혁리에게 소리친다. “시비와 흑백을 가리는 사람은 이미 그 마음이 동요하고 있는 것이라고 아버지에게 들었다. 옳고 그른 걸 떠나서 난 당신과 평생 함께 있고 싶다.” ‘박애’는 정치적으로 올바를 것을 요구하지만 사랑은 옳은 것이나 그른 것이 없다. “묵자집단은 입만 열면 겸애를 말해왔다. 그러니 당신도 사랑이 뭔지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상주의자들은 박애주의자가 사랑을 모르는 이 딜레마를 풀지 못한다.

영화는 고대 공성(攻城) 싸움의 모래먼지가 잦아들 즈음 정치영화로 변한다. 전쟁이란 정치의 다른 얼굴일 뿐인 까닭에, 묵자집단 같은 이상주의자들이 전쟁이 끝난 뒤의 정치적 분배에 끼어들 여지는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는다. 외인부대일 뿐인 묵자집단의 방어전투가 끝내 침략전쟁을 종식시키지 못한 것은 이 때문일 것이다. 일본 모리 히데키의 만화를 저본으로 삼은 이 작품은 홍콩 감독(장즈량)에 한국(안성기·최시원)과 중국(판빙빙)·홍콩(유덕화)·대만(우치룽)의 배우들이 참가하고 한·일 두 나라의 제작자들(이주익·이세키 사토루)이 손잡았다는 점에서 묵자집단만큼이나 국제주의적 마인드를 지닌 이들의 값진 성과다.

글 : 이상수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