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조승연님의 홈페이지에서 무단으로 퍼왔습니다.

엘레강스하게 <01.4.7> 그는 마치 조폭 같았다. 듬직한 체구, 색안경 너머의 눈매와 중저음의 걸걸한 목소리는 카리스마란 이런거다,의 표준이라 할 정도다. 그는 자신을 서울대에서 미학을 공부한 박사출신이라 했고 또 제3세계 국가에서 사업을 해 번 돈으로 가족과 프랑스에서 10여년을 지냈다 귀국한 거라 했다. 그는 영어가 없으면 의사표현 하는 것이 버거운 사람인 듯 싶었다. 언제나 명사와 형용사는 대부분 영어나 학술용어로 대체했다. 그의 수업은 항상 같은 말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는데,

첫째로, ‘공산당 선언’과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읽으라. 2, 동양화는 위기이며 동양화 전공학생과 토론하고 싶다. 3, 한국대학교육은 문제가 많다. 4, 조선시대의 연애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5, 소비에트 블록 해체에 충격 먹었다. 등이 그것이다. 그 외에는 대부분이 영어와 학술용어이기 때문에 별로 기억나는게 없고 실지로도 그의 수업은 진도나 교재 같은 것이 없기 때문에 결국 위의 몇가지 화두에서 크게 벗어나는 경우는 없다. 두 시간동안 그렇게 멍하니 앉아있다보면 내가 도대체 지금 뭐하고 있는건가,하는 회의가 절로 들 때가 많다.(캔슬을 하지 않는 이유는 리포트와 시험이 없을 것 같다는 판단이 들어서이다.) 수업을 듣고 있노라면 내내 궁금증이 떠나지 않는다. 우선, 1에 대한것. 나는 ‘공산당 선언’을 읽었지만 막스베버를 궂이 읽지 않아도 자본주의를 이해하는데 아무 지장이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삶 자체가 자본주의니까.(물론 베버가 말하는 자본주의와 우리의 자본주의는 전혀 별개의 것이겠지만……) 그리고 그는 사회를 알아야 마스터베이션인 그림을 그리지 않는다고 했는데 난 맑스와 베버를 읽어야만 사회를 아는거라 생각하지 않는다. 2, 7~80년대 한국화 융성기 이후 상대적으로 한국화라는 장르가 많이 쇠퇴했다는 건 고등학생도 아는 사실이다. 그에 관한 논의는 내가 알기로 적어도 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됐다. 10년이 넘도록 같은 이야기만 반복된다는 거다. 그 지겨운 논의를 앵무새처럼 또 다시 하자고? 3, 이해한다. 프랑스처럼 교육의 질이 좋은나라에서 살다와보니 참 여러 가지로 한심했을거다. 문득 만리장성에서 만났던 한국인 관광객 아저씨들이 생각난다. 박사출신인 그 지식인과 그 오만한 관광객사이에 무슨 연관이 있길래?…… 4, 그렇다. 하지만 내가 만일 교수가 된다면 수업때마다 “원시시대에는 수렵이 주된 일과였다.”는 말을 되풀이하진 않을 것이다. 5, 아는 분은 “100년의 노력이 물거품되는 광경을 우리는 보고 있다.”라고 한 적이 있다. 그로 인한 쇼크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좌파지식이라면 쇼크먹고 끝날 일이 아니지 않은가? 그에게 홍세화처럼 행동해 주길 바랄수는 없는 노릇이겠지만 말이다. (홍세화라니……홍세화는 파리에서 택시기사였지만 그는 문화생활을 하는 은퇴한 자본가였다.) 결론으로 들어가서, “그래서 어쩌자는 건가, 계몽하자는 건가? 다른 길을 찾자는 건가? 어떻게? 연구실에 앉아서? 휴가때면 종종 파리에 가 포도주를 마시면서?…” 이건 아주 중요한 거다. 왜 이 지식인은 사회와 동떨어진 자세로 세상을 대할까? 그가 이야기하던 “~엘레강스하게”란 것은 그만의(그들만의) 성채에 존재하는 것 아닐까? 그는 어떻게 자본을 토대로 제 3세계에서 사업을 하면서도(착취를 하면서도) 자신이 맑시스트라고 당당히 말할 수 있을까, 그렇게 번 돈으로 프랑스에서 책과 포도주와 함께한 삶에 대해 조금의 회의나 부끄러움도 없었던 걸까? 강준만이 “늘 행동은 궁색하고 초라하다”라고 말한 것처럼 그의 ‘엘레강스한’품위와 ‘엘레강스한 ‘예술텍스트, 그리고 ‘엘레강스한’ 지식의 파편들은 어쩌면 그의 담론속에서만 존재하는 허상일지도 모른다. 그가 이야기하던 마르크스는 죽어있는 마르크스였고 사회주의는  한갓 가상 롤플레이션 게임에 불과했다.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