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노’를 봤다.
씨네21에서 아주 좋게들 말하고 있는 그 ‘주노’ 말이다.
평범한 10대 미혼모가 출산을 선택함으로써 맞닥뜨리게 되는 현실 가족제도(성인과 미성년이라는 구분을 포함해서)의 한계와 문제, 새엄마나 입양 예정 부부 등을 통해 묘사되는 소박한 문제의식과 대안적 자세, 취향을 나누는 사랑스러운 소통의 형태 등등…
애정을 갖게 하는 인물들과 이야기임에는 분명하다.
하지만 이 영화는 인물들이 마주하는 문제에 나를 깊이 인도하지는 않는다.
10대가 임신을 해서 아기를 낳겠다고 한 것만으로도 이야기의 추동력이 강해서인지 영화는 다른 ‘사건’을 만들 엄두를 내지 못한 것 같다.
아기가 만들어졌다는 이야기의 시작 이후 입양자에게 전해지는 마지막까지 사건은 더 커지지 못하고 평행선으로 진행된다.
어쩌면 최초의 충격이 갈수록 약해진다고 말해도 될 것 같다.
각 인물들이 10대의 임신이라는 주어진 운명에 부딪치면서 문제를 증폭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운명의 충격을 각자의 방식으로 줄여 가는 방향으로 진행된다고 말하는 것이 적절할까?
(그렇다고 씨네21의 기사에서 언급된 것처럼 마크와 주노가 덜컥 제대로 엮여 버리는 것 같은 사건을 기대했다는 것은 아니다. 그건 문제를 증폭시키는 게 아니라 애초의 문제를 잊어버리는 것이다.)
아무튼 그래서 이 영화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문제를 곱씹는 즐거움이 아니라 문제 안에서 그래도 잃지 않는 인물들의 건강함을 지켜보는 즐거움이다.
물론 모든 영화들이 문제의 심연으로 관객을 이끌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사랑스럽게 가만히 지켜볼 수 있게 해 주는 그 만큼으로 충분히 제 몫의 가치를 얻을 수 있다.
그래도 이런 영화들은 각자의 영화 목록 안에 애정어린 소품, 그 이상의 자리에 가 있을 법하지는 않다는 게 내 생각이다.
각자에게는 각자의 정당한 자리가 있고 그 온당한 자리를 찾고 발굴하는 것이 비평 저널의 한 역할이다.
(그것이 아니라면 자신이 지지하는 취향에 대해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그런데 최근 씨네21의 이 영화에 대한 반응은 좀 과한 것 같다.
(최근에는 ‘원스’나 ‘카모메 식당’ 같은 영화들이 그랬던 것 같다.)
한국영화에 대해서도 씨네21이 제 몫 이상의 평가를 전략적으로 해 줬다고 생각하는데 이와 비슷하게 ‘건강하고 착하지만 작은’ 영화에 대해 그러는 것 같다.
소박하고 정치적으로 올바른 선택을 따르는 것 같은 이 작은 영화들이 비판받을 이유는 전혀 없지만 최근 씨네21은 이런 소품 취향에 대한 애정을 다소 과도하게 드러내면서, 하지만 이를 미학적으로 입증하지는 못하면서 지면을 소비하고 있는 것 같다.
작은 영화를 지지하는 극장들이 죽어 가니, 어쩌면 씨네21은 산업에 대항하는 ‘예술의 정치화’ 방식으로 이 영화들을 대하는 것 같다.
이해는 가지만 이런 경향이 과연 작은 영화들의 (미학적) 제 자리를 찾아주는 데에도 도움이 될지는 의문이다.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