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주인공 가축몰이 인형 우디는 더 이상 소리를 내지 못하는 펭귄 인형 위지가 주인 앤디의 엄마 손에 이끌려 팔려 나가는 것을 저지하려다 알이라는 인형 가게 주인의 손에 ‘납치’된다. 알은 한때 인기가 있었던 인형 TV 프로의 주인공인 우디와 제시, 불즈아이, 그리고 프로스펙터를 모아서 도쿄의 박물관에 팔아 큰돈을 손에 넣으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 한편 납치된 우디를 구하기 위해 정의의 용사 버즈(Buzz Lightyear)를 비롯한 친구들은 위험한 구출작전을 감행하게 된다. 여기서 이 영화의 판타스틱한 모험은 시작된다.

이 영화는 정말 신난다. 장난감의 세계라는 판타지가 있으며 각 장난감마다의 독특한 기능과 개성이 하나의 인격체로서의 캐릭터를 구축하여 나름의 재미를 선사하고, 그 섬세한 그래픽과 효과가 있어 흥미진진하다. 포테이토가 구출작전에 동참할 때 아내 포테이토가 각 표정의 눈알 하며 갖가지 악세사리를 챙겨 넣어주는 것이나 버즈가 장난감 가게에서 만난 벨트 찬 버즈가 아직도 현실을 깨닫지 못하고 레이저 광선을 쏘아대는 것이나 Z대왕의 등장으로 빚어지는 스타워즈의 패러디는 그야말로 웃음을 참을 수 없을 지경이다. 그 중에서 눈에 띄는 것은 우디의 영화롭던 과거를 회상시키는 그의 동료 제시와 애마 불즈아이, 그리고 프로스펙터이다. 우디 본래의 모습(부여받은 기능)을 환기시키면서 신나게 가축몰이하던 그 생기발랄함을 발산하는 제시는 더더욱 눈부신 캐릭터이다. 이들이 어우러져서 만들어내는 판타지의 세계는 인간 밖의 또다른 세계에 대해 별다른 거부감 없이 쉽게 몰입하게 만든다.

그러나 그렇게 마냥 유쾌하지만은 않다. 문득 보다보면 소리를 내지 못해 책장 뒤에 박혀 버려진 위지의 모습이나, 옛 주인에게 버림받아 알의 손에까지 오게 된 제시의 모습은 존재 기능을 하지 못하는 장난감의 실존적인 물음을 제기하면서 처연한 감정을 일으킨다. ‘나를 아끼고 사랑하는 주인이 나를 버린다면, 부쩍 자라서 더 이상 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나는 무슨 존재 의미를 지닌단 말인가.’ 이 영화를 내내 관통하는 이 물음은 앤디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존재 의미를 획득한 장난감들의 아이덴티티에 대해 계속 고민하게 만든다. 알이 큰 돈 한번 건지기 위해 우디를 앤디 엄마 몰래 슬쩍 가지고 가는 장면에서는 더더욱 처연한 생각마저 든다. 우리가 쉽게 물건으로 인지하고 부수고 가지고 놀고 버리고 바꾸고 하는 그 수많은 사물들이 나름의 영혼을 가지고 있다면 우리가 이렇게 쉽게 교환가치화해 버리는 횡포(?)는 과연 어떻게 면죄부를 받을 것인가 하는 것 말이다. 이는 더 나아가 우리 주위 사람들과 소외받는 그 무엇들에게까지 가 닿는다. 내가 저 사람을 돈으로 볼 때, 하나의 수단으로 보고 있을 때 그는 얼마나 심각한 고통을 겪을지…이 영화는 작은 동화 속에서 그런 슬픈 감정을 이끌고 존재의 도구화를 발랄한 웃음 뒤로 경고하는 것 같다.

그런데 꼭 그런 것 같지도 않다. 이 장난감들은 시종일관 자신은 사람에게 사랑을 받을 때에서만 행복을 느끼고 존재의 의미를 찾는다. 더 이상의 획기적인 자기 존재 인식에 대한 전환이 없다. 제시와 프로스펙터는 이미 주인이 언젠가는 자신을 버릴 것이라는 것과 사랑으로부터 소외받는 것들에 대한 자각이 있다. 그러나 결국 이 판타지는 앤디의 세계 속으로 울타리지워져 버리고 만다. 그들은 적어도 ‘지금’ 주인이 자신을 사랑하고 즐겁게 가지고 노는 것에서만이라도 기꺼이 행복해한다. 우디의 구출작전이 성공하고 제시와 불즈아이까지 새 식구로 맞이한 앤디의 장난감들은 이렇게 스스로가 앤디의 도구가 되는 것을 기꺼워하면서 오손도손 살아간다. 좀 과격하게 말해서 착취당하고 사는 것이 그렇게도 행복함을 그렇게 해피엔드로 포장하여 살포하고 마는 것인가.

여기까지 가면 이 영화를 보고 그리 유쾌해지지 않는다. 은연 중에 내가 이 판타지 속의 장난감이 되어 있노라면 무의식적으로 그렇게 앤디라는 주인의 놀이개가 되어 행복해하는 꼴이 되어 버린다.
하지만 걱정 마시라. 적당히 즐기려면 그 이전의 단계에서 멈추면 되니까. 한발 물러서서 그들의 살아가는 모습을 무관심으로 관조하는 데서도 충분히 즐거움을 얻을 테니까. 내가 장난감이 되지 않고 앤디가 된다면 이들이 행하는 구출 작전은 충분히 즐거우니까. 그들의 살아있음을 즐겁게 지켜보면서 인간보다 더한 인간적인 감정이 세세하게 표출되는 것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즐거우니까. 버즈와 Z대왕의 비밀을 폭로하는 스타워즈의 패러디처럼 마냥 여기에는 번뜩이는 재치의 유희가 있으니까.

이 유쾌함 속에서도 한켠으로는 ‘내가 장난감이라면’이라는 생각은 생각보다 무거운 질문을 던진다. 아, 제시여, 그대는 왜 앤디의 마을을 고마워하는가. 유쾌한 제시…차라리 모든 이들로부터 사랑을 영원히 받으려는 탐욕스러운 프로스펙터가 될 지언정…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