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 Krzysztof Kieslowski

출연 : Zbigniew Zamachowski, Julie Delpy

영화음악 : Zbigniew Preisner

굳이 이 영화를 ‘평등’이라는 의미에 천착해서 보지 않더라도, 해석은 매우 용이하다. ‘블루’나 ‘레드’와는 달리 이 영화는 장르적 틀 안에서 전개되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는 그나마 번역이 수월했던 영화.

평등 : 폴란드인 카롤이 프랑스인 도미니끄와 결혼하고 프랑스에 거주하며 결혼생활을 하는 동안 그는 일종의 성불능 상태에 놓인다. 이는 계속 지켜보면 심리적 억압이나 위축에서 기인한 것 같은 인상을 준다. 성적 쾌락을 충족시켜주지 못했다는 이유로 프랑스인 도미니끄가 이혼을 하려 하는 데에는 볼품없고 기백없고 발기도 잘 되지 않는 왜소한 카롤에 대한 못마땅함이 개입되어 있는 것이다. 카롤은 도미니끄로부터 버림받은 후 비참한 모습으로 프랑스 거리를 떠돈다. 그는 처절하게 폴란드로 돌아가 독하게 돈을 모으고는 위장 장례식을 치르고 유산을 도미니끄에게 넘겨준다. 그러나 그것은 예전의 멸시에 대한 복수였다. 자신이 처했던 위축된 상황, 왜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고스란히 도미니끄에게 경험시키기 위한 계략이었다. 카롤의 살해 혐의로 옥살이를 하는 도미니끄는 그제서야 깨닫는다. 동등한 위치에 서서 서로를 존중하는 것만이 사랑이라는 것을. 진정한 평등 하에서의 관계란 어떠한 심리적 위축감도 개입될 수 없는 것이라는 점을. 카롤은, 경제적으로 부유해진 카롤은 도미니끄 앞에서 위축될 것이 없었다. 그때서야 비로소 그는 도미니끄에게 오르가즘을 선사해 줄 수 있었다.

병을 넣으려는 노파 : 자기 키보다 조금더 높은 위치의 구멍으로 병을 넣으려 애쓰는 한 노파는 ‘블루’, ‘레드’에도 나온다. 항상 이 노파는 주인공에 의해 관찰되고, 정확한 기억인지는 모르겠지만 그 노파를 지켜보던 주인공은 웃음을 잠시 머금으며 관조하다가(동시에 자신에 대한 관조? 자기의식과 동시에 운명에 대한 선택의 순간?) 문득 작은 결심을 하게 된다. 이렇게 같은 장면으로 비슷한 심상과 전환 효과를 내면서 이 노파는 세 영화를 이어준다.

비둘기 날개 소리 :

하나 — 이 영화에서는 줄곧 비둘기는 보이지 않더라도 비둘기 날개 소리가 주인공 주변을 맴돈다. 나의 작위적 해석을 듬뿍 가미한다면, 이 음향 장치는 주인공의 감정이나 사고의 전환과 처한 입장의 변화 등이 일어날 때 그것을 감각적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것 같다. ‘블루’에서는 잠시간의 암전이 일종의 소격 효과를 일으키며 관객의 몰입을 저지하고 생각을 정리할 여지를 부여한다. 이 음향 장치는 관객이 내러티브의 전개에 대한 이해를 돕는 장치이자 앞으로 일어날 인물의 변화 양상에 대한 예측을 유도하여, 감상의 용이함을 도우면서도 동시에 관객의 능동적 감상을 안내하는 것, 다시 말해 감상의 용이함과 불편함을 동시에 유발하는 것은 아닐까. (아니면 말고)
둘 — 엇갈렸던 두 인물의 위상이 일치되는 지점? 카롤에게는 위축되었던 심리가 극복되는 순간, 도미니끄에게는 카롤의 위에서 그와 동일선, 또는 그 아래로의 위치 변화…평등이라는 관계가 성립되는 찰나의 순간? 평등이란 한 번 성립됨으로써 지속되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각자의 위상의 변화 사이에 잠시잠시 이루어지는 순간적 상황?
셋 — 아니, 첫장면에서 카롤은 법정에 들어서는 순간 비둘기의 똥 세례를 받는다. 평등의 상태가 무너지는 상황을 뜻하는 듯하다. 그렇다면 위의 허접 해석과 정반대로 비둘기는 평등의 균열상태를 뜻하는 것인가?(한 번 보고는 절대 섣부른 판단 불가)

프라이즈너의 음악은 여기서도 빛을 발한다! 프랑스에서의 클래시컬하면서도 현대적 느낌의 음악, 폴란드에서의 민요풍 흥겨운 음악…그러나 정성일 씨에 의하면 음악이 흐르는 순간 그 장면은 이미지의 진실을 회의케 하는 픽션적 성격이 덧입혀진다고 한다…(이해하기 힘듬)

타인을 존중하지 않고서 자신이 존중받기를 원할 수는 없다. 상호간의 존중이란 동등한 위치에서만 가능하다…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