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친구와 나눈 짤막한 대화 때문에 내 생각을 한번 정리해봐야겠다는 충동이 들었다. 이 영화에서 나타나는 비약과 단절, 폭력, 극단 등으로부터 비롯하여, 이 영화에 대한 해석 역시 이 영화를 닮아 양극단으로 치닫는 것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가 세간의 도마에 오르는 것은 그만큼 그 영화가 현실에 대해 지니는 자세가 논쟁적이라는 뜻일 게다. 나 역시 한쪽 끝에 위치할 수밖에 없는 듯하고 나는 양극 사이에서 방황하다가 이제서야 어느 한쪽에 자리잡은 듯한 느낌이다. 한쪽 끝에 머문 만큼 독단적으로 들릴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써 본다.

1. 영화는 왜 불쾌를 일으키는가?
영화는 시종일관 한 여성이 일종의 지옥 속으로 무참히 빠져드는 과정을 친절한 설명 없이 보여준다. 이 영화 안의 세계에서는 선화에 대한 그 어떤 동정도 없으며 암묵적으로 정당화되어 있는 듯한 폭력이 그녀를 포획할 뿐이다. 우리는 거기서 기타 다른 장면들의 폭력성보다 더한 진정한 폭력이 긍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느끼면서 주체할 수 없는 불쾌를 느낀다. 그것은 미학적이기도 하지만 정치적이기도 한 불쾌감이다.
사랑하는 한 남자가 있는 단아한 여대생이 6만원짜리 인생으로 전락하여 사회의 일반에서 이반으로, 정상에서 비정상으로 한기의 일상으로 강제적으로 편입당한다. 더구나 한기라는 이 세상에서 가장 나쁜 남자의 폭력을 사랑이라 (너무나도) 쉽게 받아들이는 어처구니없는 내러티브를 목격하고 있는 것은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무책임한 폭력에 나도 노출되어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도록 만든다.
따라서 이 영화는 그 자체가 폭력이다. 여기서 불쾌는 지워지지 않는다.

2. 영화가 현실을 모방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이 영화는 그 자체가 폭력이다는 것을 인정하자. 그렇다면 그것은 우리에게 어떠한 의미를 던지는 것일까?
우리는 영화를 보는 내내 선화에 대한 일방적인 가학이 서서히 마조히즘적인 수긍으로 전화되는 것을 용납지 않는다. 설령 한기가 선화를 사랑하였다 하더라도 그것이 진정한 사랑이 아니라는 것을 환기한다. 이 영화는 모종의 이상적 가치에 대해 철저히 반명제의 위치에 서있는 것이다.
그 모든 자극적인 이미지로 착색된 이 영화는 자신의 반명제로서의 위치를 우리에게 각인시킨다. 이 영화가 우리의 감각에 기입하는 것만을 받아들인다면 이 영화는 말 그대로 쓰레기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이 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 그 자극성 역시 쾌가 아니라 불쾌를 가져다주는 요소인 바에야 무슨 말을 더 하겠는가 – 그러나 우리는 내러티브만 찬찬히 따라가는 수동성만 담지할 수가 없다. 이 영화는 다른 김기덕의 영화와 마찬가지로 내러티브 자체가 매우 빈약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내러티브의 불친절함이 영화가 주는 자극만 고스란히 받아내지 말라는 권고라는 점이다. 이 영화의 쓰레기 같음, 즉 자극성과 폭력성을 그 자체로만 우리 몸에 기입하는 것은 이 영화를 잘못 읽은 것은 아닐까?
그렇다면 이 영화는 무슨 말을 하려는 것일까? 내 생각에 이 영화는 스스로가 현실의 모방이 되어 현실의 은폐된 실재, 부정하고 싶지만 결코 부정되지 않는 엄연한 실재를 관객이 단지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 이 영화의 언어를 그대로 몸에 기입하면 단지 확인에만 머물 것이다 – 인식함으로써 폭력적 현실을 은폐하는 폭력적 이데올로기의 바깥에서 폭력 그 자체를 묵도하기를 기대하는 것 같다. 다시말해 이 영화는 자신이 구축한 분열되고 기만적인 세계 속에서 오히려 현실 세계를 바라보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우리가 이 영화를 보면서 떠올리는 생각들, 내 기대를 철저히 거스르는 화면을 보면서 왜 그 비난을 현실로 재환원시키지 않고 영화에만 머물러야 하는가. 그렇다면 이 영화는 긍정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부정으로 해석되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니겠는가.
현실에서는 그 어떤 진정한 사랑의 관념에도 부합되지 않는 추악한 폭력이 사랑으로 가장하고 있으며 설령 내 사랑의 정수를 상대에게 전하고자 하여도 일그러진 이데올로기에 장악된 현실은 그 사랑을 일그러뜨려 보내진다. 사랑하여 결혼하면 여성은 가사노동과 사회노동에서 이중차별을 받는다. 어머니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과잉 교육열과 치마바람으로 일그러진다. 심지어 어떤 경우에는 진짜 좋아해서 하는 행동이 상대에게는 스토킹이 되는 경우도 있지 않은가. 극단적으로 말해 ‘사랑해’라는 말을 전하면 상대에게는 ‘십새끼야’가 되어 가닿는 것이다.

3. 양날을 가진 면도칼
지금까지 이 영화에 대한 변호는 수용자의 입장에서 이 영화를 거치면서 일어날 진정한 생성의 가능성을 말했다. 그러나 기실 이 영화가 온갖 불친절하고 부정적이며 위선적인 면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것은 이 영화 그 자체의 부정할 수 없는 정체이기 때문이다. 김기덕의 영화에서 유독 여성에게 가혹한 점과 가학-피학-자학의 트라이앵글이 공고한 점은 그 자체로 쟁점이 될만한 추악한 점인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 어쩌면 김기덕의 무의식이 그러한 설정을 이끄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그가 만든 영화는 그의 내적 구조에서 떨어져 나가 나름의 구조를 획득하여(나는 이것이 한 작품의 성립에 필요한 단절의 첫 단계라고 본다), 특유의 불친절함과 자극성을 가지고 우리에 대해 타자성을 획득하여 자신을 생소하게 일그러진 실체로 보도록 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그의 영화에서 타자성을 느낄 수 없다면 내 관점에서는 그의 영화와 맺는 불운이다.
나는 이 영화가 말 그대로 부정적인 면으로만 전달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부정하지 않는다. 비난을 영화 자체에도, 다시 현실에도 돌릴 수 있는 것이 관객의 권위이다. 이 권위를 어디에 사용하는 것이 책임있는 자세일까. – 이를 통해 관객의 심성구조와 미적 취향의 경중을 취하려는 것이 아니다. 다만 영화와 현실, 영화와 관객 사이에서 획득하여 진정으로 자신의 질적 변화를 이끌어갈 방향타가 있다면 어디로 잡아가는 것이 더 나은가에 대해 모색하는 의미로 받아주기 바란다 – 영화를 잠시 머물다갈, 그래서 현실에서는 잊어버릴 가상으로만 사용하는 것과 이 수없이 창궐하는 가상들을 현실과 관련지어 나의 생성 안에 참여시키는 데 사용하는 것. 나는 이 영화에 대한 치열한 공방도 양자 사이의 줄다리기가 아닌가 생각한다.

‘나쁜 남자’에 대한 내 생각”에 대한 3개의 댓글

  1. 지금이 새벽이니까 나도 오늘밤에는 나쁜남자를 보러갈껀데,사실 김기덕 감독은 언제나 별로라는 사람들의 의견보다는 괜찮고 신문에서 떠들어대는것보다는 별루인 영화를 만들죠.거기다 세상의 영화들이 점점 재미없어지는이유는 내가 나이를 먹어가서가 아니라 영화들이 점점 다비슷해져 버리기 때문이지요.그리고 자꾸 홈들은 남의 홈과 비슷해져가요.그가운데 여전히 긴문장을 만드시는 칼리토님에게 언제나 감탄을!
    나는 집을 떠나있지만 사람들을 떠난건 아니예요.불친절해 보이는 행동가운데도 때때로 보여주고 싶지 않은 아픈 진심이 있듯이.속속들이 모두다 나쁜건 아니듯이.당신은 누구인가?- 가 아니라 도대체 나에게 당신은 나에게 무엇인가- 가 옳은 질문이듯이.행복하시고.

  2. 그런데 나쁜 남자는 김기덕 감독영화중에서 가장 이상한 영화가 될껍니다.그는 갑자기 인간의 구원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이 영화는 좀더 깊이 들어가보면 신과 인간의 사랑에 관한 요구방식의 한 형태입니다.그리고 이것은 지라르의 말처럼 불순한 폭력과 순화된 폭력의 차이에 관한 극명한 해답입니다.그래서 타르코프스키의 희생에서 주인공이 아들을 불에태워 죽이는것이나 깡패들의 의리를 위해 서로 찌르는 것을
    또는 희생에서 주인공이 하녀 마리아와 정사를 나누어야 인류가 위기에서 벗어나는것처럼 그녀역시 창녀로 만들어져야 순수한 여인으로써 조제현을 구원할수 있는 것입니다. 결국에는 모든 불순과 순화의 차이가 사라지고 단지 행위만으로 놓고볼때 이들의 행위는 구원을 위한 하나의 의식일 뿐입니다.그렇다고 이영화의 줄줄타는 감정선에 찬성하고 싶진 않지만 나쁜남자는 기존의 영화에서 좀더 나아가려는 김기덕의 모습입니다. 문제는 이방향이 유럽사람들의 구미라는 것인데 그래서 파리텍사스의 거울씬을 베끼다든지 라스폰트리에의 브레이킹더 웨이브를 카피하고자하는 욕망이 읽힌다는것이 문제이긴 하지만 자신의 영화에 과도하게 흐던 폭력에 대한 하나의 정의가 아닐까 합니다.그래서 이 영화는 적어도 파이란 같은 '절대여인'를 만들어내는 감상적 허구 따위에 휩쓸리지는 않았습니다..그래서 나름대로 이야기할 꺼리가 많은 즐거운 영화였답니다.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