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 폴 토마스 앤더슨
제작 : 조안 셀러 (뉴라인시네마)
각본 : 폴 토마스 앤더슨
촬영 : 로버트 엘스윗
음악 : 존 브리언
주연 : 톰 크루즈, 줄리안 무어, 제레미 블랙만, 제이슨 로바즈, 윌리엄 H. 메이시

2000. 07.
나는 지독히도 게으르고 단순해서 한번 나태의 늪에 빠지면 헤어나오지를 못하고 인간이 보여줄 수 있는 나태의 최고치까지 치닫고는 한다.
오랜 나태의 시간을 지나온 나는 오랜만에 책을 들고, 또 영화를 보면서 그 돌파구를 찾기로 했다.
그 첫 테이프를 끊을 영화로 나는 폴 토마스 앤더슨 감독의 ‘매그놀리아’를 선택했다. 이 영화에 대한 사전정보도 미미했고 이 감독의 전편을 접하지 않은, 백지 상태에서 하나하나 채워나가자며 선택한 것이었다.
‘매그놀리아magnolia’. 사전을 보니 ‘목련속의 나무’라는 것 이외엔 다른 뜻이 없는 것 같다. 그럼 이 영화는 목련, 화훼에 관한 영화인가? 터무니 없는 생각도 해 보지만 영화의 도입부는 전혀 목련과 관계가 없는 듯하다. 영국의 그린베리 힐에 사는 약사가 괴한들에게 살해당했는데 그 괴한들 이름이 그린, 베리, 힐이었다, 부부싸움이 잦은 부모의 아들이 자기 인생을 비관하고 옥상에서 뛰어내렸는데 마침 1층에 쳐져 있던 그물 덕에 살 수 있었으나 부모의 싸움이 지겨웠던 나머지 어떻게든 되라는 식으로 장전해 놨던 총이 하필 그 순간 발사돼 그 아들이 죽고 말았다, 뭐 이런 믿을 수 없는 우연의 일치, 웃을 수도 울 수도 없고 쭈뼛 소름이 돋는 이야기가 영화를 여는 문이라니. 그럼 이 영화는 세상사 믿을 수 없지만 있을 수도 있는 우연의 사건, 기묘한 일치의 순간을 포착하려는 건가.
당황하고 있던 차에 영화는 시작됐다.
그런데 한 20분을 보고 나니 이건 주인공이 없다. 아니, 주인공이 어림 잡아도 열 명은 넘는다. 이런 저런 사람들의 모습을 병치시키며 나열하는 건 마치 로버트 알트먼의 ‘숏컷’을 보는 듯했다. 원래 게을러서 이런 식으로 집중하고 꾸준히 스크린을 따라가며 하나하나 머리속을 정리하면서 봐야하는 ‘숏컷’에 매우 고전해 본 전력이 있던 나는 지레 겁을 먹게 됐다.
‘엇! 이거 만만치 않은데. 아무래도 새롭게 시작하는 마음으로, 가볍게 첫발을 내디딜 만한 영화가 아니다’라는 후회와 두려움이 밀려 오면서 내 머릿속은 복잡해져 갔다.
암에 걸려 죽어가는 노인 얼, 그의 아내, 얼을 보살피는 호스피스, 그리고 노인이 버렸던 아들, 암에 걸려 죽어가는 퀴즈쇼 사회자, 그에게 성폭행을 당했던, 지금은 마약으로 망가져가는 딸, 자신의 직업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경찰, 퀴즈쇼 출신의 영재였던, 그러나 지금은 별볼일 없는 놈, 지금 퀴즈 쇼에서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는 꼬마, 그리고 그의 아버지. 이런, 도무지 정리가 안되는군.
하지만 시간이 계속 흐르면서 가닥이 잡혔다. 이건 퀴즈쇼라는 얼개 속에 묶여 있는 수많은 사람들의 슬픔과 고뇌를 끊임없이 나열하는 식이었다.
등장인물들은 모두들 서로를 배신하거나 당하고, 증오하고 후회한다. 죽어가는 노인은 그의 아들을 버렸던 과거에 깊은 후회를 하고, 돈을 보고 결혼했던 그의 후처는 뒤늦게야 자신이 노인을 사랑하고 있음을 깨닫고, 아버지에게 버림받고 홀로 일어선, 여자꼬시기를 가르치는(?) 그의 아들은 아버지에 대한 증오와 원망을 간직하고 있고…그리고 호스피스는 얼의 부탁을 따라 아들을 불러 화해시키려 하고…이 죽어가는 노인의 집안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러한 이들의 애증 관계는 영화가 진행되면서 점점 절정에 달하고 폭발하고, 풀고 화해하거나 종결된다. 특히 한 노래를 부르는 등장인물들을 돌아가면서 보여주는 시퀀스는 그 화해와 종결의 실마리를 잡는 순간을 하나의 시공으로 포섭한다. 이런…눈물이 찔끔 나는군.
영화 속 대사처럼 인간은 과거를 잊지만 과거는 그를 잊지 않는 것처럼, 자신이 쌓아놓은 과거의 무게 속에 신음하던 이들이 이 노래와 함께 그 중압감에서 잠시나마 벗어나는 것 같았다.
어쨌든 기막히게 연결된 애증의 고리 속에 그 고리들이 새로운 고리를 형성할 절정의 순간이 그 이후 벌어진다. 바로 개구리 비다! 이런 말도 안 되는 일이…이런 일도 일어날 수 있군. 정말 대사처럼 이런 일도 일어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듯이 하늘에서 터무니없이 개구리들이(그것도 큼지막한 황소 개구리들이) 떨어진다. 고뇌하는 이 사람들을 용서한다는 하늘의 계시인가? 하여튼 떨어진다. 황소 개구리가 떨어지는 동안 이들은 화해하거나 용서하고 참회하고 새로운 사랑을 싹틔워 나간다.
아, 머리가 아프다. 도대체가 나는 이렇게 복잡하고 긴 영화는 왜 골라서 고생을 한 건지. 하지만 그 감동은 만만치 않은 양인 것 같다. 새벽을 오래 넘긴 시간까지 눈을 말똥거리며 매그놀리아에 대한 글들을 뒤적거리는 걸 보면 말이다.
사람들이 사는 인생이란 다 그런 것 같다. 서로 많이들 상처를 입히고 받으며 그 자욱들을 남기며 살아가는데 그 뒤를 돌아볼 여유가 없나보다. 그러다 어느 순간 자신의 자취들을 돌아보다 문득 후회가 될 때, 그 때 ‘나는 뭘 했던가?’ 가슴에 사무치도록 후회해도 이미 어마어마하게 쌓인 자욱들의 무게는 쉽게 떨쳐낼 수 없다. 길거리를 가다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의 무표정함 속에도 그들 나름의 상처와 후회를 안고 그것들을 조금씩 부풀리며 사는 것 같다. 그 쌓인 짐들을 조금씩이나마 덜어낼 여유가 있다면…
이 목련꽃 영화는 그렇게 무거운 짐을, 그것도 한 사람도 아닌 열 명 남짓의 무게를 담아 보여주고 그것을 한번에 덜어주면서 화해의 꽃망울을 피우는 것 같다.

참, 인상깊었던 한 녀석을 등장인물 중에서 빼먹었다. 살인용의자를 경찰에게 넌지시 랩으로 띄워주고 자살하려던 얼의 후처를 발견해 살렸던 그 흑인 꼬마. 하나의 예언자, 화해와 구원의 이미지가 문득 느껴지는데…
모든 어린이들을 천사로 보는 건 위험하지 않다고 화를 내며 말하던 윌리엄 H. 메이시의 대사가 그 흑인 꼬마에게 오버랩되는 건 왜일까…?

댓글 남기기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

짧은 주소

트랙백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