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빛 속으로 포스터
이 영화는 환상과 현실을 넘나든다. 그런데 환상과 현실을 가르는 것은 사람이다. 같은 시간, 같은 공간에 있어서는 안되는 사람이 자리함으로써 환상이 성립된다. 달리 말하면 이 영화에서 어떤 인물은 시간과 공간을 은유한다. (나는 최근–에서야- 베리만의 ‘산딸기’에서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환상에 진입하는 것을 봤다) 그리고 그 인물은 삐삐소녀다.

수영에게 모든 것은 1979년 6월 대학교, 삐삐소녀에게서 시작됐다. 그녀는 자신보다 두 살 많은 76학번이었지만 첫 여인이었고 관념적인 독일 시에서 눈물을 찾아내 보여주는 영감이었다(그리고 삐삐소녀는 성악과 학생이다). 수영이 그녀를 알게 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녀는 확성기와 전단지를 들고 학교 건물 위로 올라갔고, 거기서 뛰어내렸다.

영화는 삐삐소녀를 추모하기 위해 수영에게 나비의 꿈을 꾸게 한다. 기다리던 영어 수학 과외, 수지라는 이름의 여고생과 그 오빠 수영을 만나고 오빠 수영을 통해 삐삐소녀를 다시 만난다. 수지는 어느새 대학생 수영을 좋아하고 수지 오빠 수영과 삐삐소녀는 꼭 달라붙어 있다. 그런데 삐삐소녀는 첫사랑이 고교 시절 자신에게 영어 수학 과외를 한 사람이라고 말했다. 수영은 삐삐소녀의 첫사랑을 재현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첫 문장은 수정해야겠다. 수영은 삐삐소녀를 추모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삐삐소녀와 다시한번 대면하기 위해 나비의 꿈을 꾼 것이다. 어쨌든 꿈은 대학생 수영 자신의 죽음을 확인하는 순간 끝난다. 삐삐소녀는 이미 죽었고 돌이킬 수 없다. 그런데 현실은 여전히 삐삐소녀의 현존으로 어른거린다. (대학생 수영의 꿈 속) 그녀의 첫사랑 수영은 서울에서 벌어진 군사작전의 무고한 민간 희생자가 됐고 그 여동생 수지는 삐삐소녀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 운명으로서 대학생 수영에게 남은 것이다. 그리고 이제 수영은 수지를 자신과 삐삐소녀 사이 운명의 일부로 받아들임으로써 풀리지 않던 시를 쓰게 됐다.

나는 이것이 수영이, 감독이 지금 80년대를 견뎌내는 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 감성적인 삐삐소녀가 79년 투신자살을 한 것은 (수영에게) 치명적인 80년대의 징후다. 그렇다면 삐삐소녀의 감수성은 상실한 70년대의 유산이라고 봐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는다. 하지만 나는 이것이 수영에게 잃어버린 70년대의 그 무엇이라기보다 어떤 시원적 형태, 갖기도 전에 상실한 것으로 남는다고 본다. 수영은 2학년인 1979년, 70년대를 인지하기도 전에 80년대의 징후를 먼저 목도했다. 모든 것은 삐삐소녀에서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수영은 삐삐소녀를 추억하기보다 환상으로 그녀를 현존시킨다. 이것이 바로 현대에도 80년대를 살아남게 하는 수영의 유일한 방법이다. 그리고 그녀를 연장하고 (수영에게 수지는 삐삐소녀의 운명적인 연장이다. 수지 오빠 수영이 실제 삐삐소녀의 첫사랑이 아니라도 상관없다. 그에게는 지금 그 적당한 자리가 필요하다.) 시를 쓰는 것은 80년대의 유령을 계속 노래 부르고 달래기 위함이다. 그렇지 않다면 수영은 삐삐소녀 이후에야 비로소 시를 쓰기 시작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게다가 굳이 수업 없는 일요일에 있어서는 안될 학생들 앞에서 그 기억을 말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영화는 무서운 이야기를 싫어하는 우리에게 그럼에도 끄집어 내야 하는 이야기가, 항상 우리 곁에 있어야 하는 이야기가 있다고 말하고 있는 중이다.

 

https://www.calitosway.net/wp-content/uploads/2007/08/05-그리워라.mp3?_=1

그리워라 – 현경과 영애

나는 상대주의가 보편적 가치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상대주의를 절대화하면 오히려 진리가 뒤로 숨어버리기도 한다.
가치판단 A와 B를 상대주의의 절대적 권능 앞에서 저울질하면 A와 B 어느 것에서도 그만의 고유한 진리값을 얻어낼 수 없다.
결국 우리는 A와 B 각각의 완결된 질서 내에서만 그것들이 지니는 각자의 절대적 진리값을 캐 낼 수 있다.
상대주의는 A와 B의 진리값을 끄집어 내려는 고통스러운 노력을 봉합하기도 한다.
때때로 친구와의 지난한 논쟁이 상대주의라는 사막으로 공간이동함으로써 결정적 충돌을 피하는 것처럼.
어쨌든 나는 이것이 절대적 세계 내에서 상대주의가 보여주는 파괴적 성격이라고 생각한다.
최근 영화 디 워와 관련한 구설수는 네티즌들이 디 워에 대한 수많은 평론가들의 비평적 혹평에 대해 대중의 호응과 이를 뒷받침하(리라 믿고 있)는 상대주의의 절대적 권능으로 봉합하려 하는 것처럼 보인다.
디 워를 옹호하는 이들은 디 워의 비평적 재앙에 대해 말하지 않고 그 위에 상대주의의 황무지를 얹어놓으려 한다.
대중을 설득하기 가장 좋은 신은 바로 이 상대주의라는 절대적인 신이다.
상대주의의 절대성 말고는 디딜 만한 든든한 언덕 하나 없는 한국 대중사회의 빈곤한 풍경이야말로 우리가 마주해야 할 디 워의 그늘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