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파의 딸들>

<올파의 딸들>은 가상과 현실의 흥미로운 교차 위에서 시작한다. 올파와 그의 첫째, 둘째 딸 고프란과 라흐마를 대역할 배우가 올파 본인과 셋째, 넷째 딸 에야, 타이시르와 대면한다. 고프란과 라흐마는 국제 테러 조직 IS에 가담하며 집을 떠났다. 대역 배우가 참여하면서 이 가족의 빈 자리는 ‘상징적으로’ 채워진다. 이 상징적 보충은 올파 가족의 역사를 이해하려면 당사자의 현실과 영화의 가상이 직접적으로 대화해야 한다는 인식을 담고 있다. 대역 배우들은 끊임없이 올파와 에야, 타이시르에게 질문한다. 과거의 기억을 어떻게 재연할지, 그 때 당신의 감정과 생각은 어땠는지. 영화가 이렇게 올파 가족의 빈 틈에 개입함으로써, 올파와 두 딸은 자기 역사를 재구성해야 할 도전에 직면한다.

현실은 환상을 통해 구성된다. 이 영화는 환상 장치를 통해 올파 가족이 자기 현실에 대한 다른 이야기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과정을 드러내고자 한다. 가족 당사자 중에서 문제적인 것은 올파이다. 자기 자신의 대역과 대면해야 하는 유일한 인물인 그는 이 영화가 자기 역사의 재구성 가능성을 가장 크게 기대하는 인물이다. 올파는 아마도 이 영화를 만드는 동안, 아니 어쩌면 그 전부터 어렴풋이 자각하고 있었을지도 모를 모순에 대해 자기 성찰의 기회를 얻는다. 가족에 대한 책임감이 남달랐던 올파는 전통적 성역할에 저항적인 여성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가부장적 질서의 구획 내에서만 그러한 인물이기도 하다. 올파의 저항은 성역할 구조에서 필요한 국면에 따라 단지 자리 바꿈을 할 뿐인 듯한 한계를 지닌 것 같고, 자신의 딸들에 대해 지나치게 통제적인 면은 올파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의 적극적 수행자이기도 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리고 그런 양육 방식이 고프란과 라흐마가 이슬람 극단주의에 경도되게 만드는 일상의 씨앗이었음을 이 영화는 당사자의 자기 진술과 대역 배우의 질문을 통해 드러낸다.

인간은 입체적이어서, 모순되는 태도를 한 몸에 짊어지고 살아간다. 이것은 인간에게 불가피한 조건이며 자각하기도 쉽지 않다. 그야말로 인간 주체는 다양한 층위에서 상충적인 이데올로기의 호명이 가 닿는 장소다. 호명되는 주체라는 말이 주체에게 면죄부를 주지는 않는다. 호명에 응답하는 인간은 저마다의 대가를 치르며, 거기에 우리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시에 그 책임은 주체의 선택을 초과하고, 이 간극이 자유라는 개념에 대한 질문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고프란과 라흐마가 IS에 뛰어든 데에는 어머니의 책임만 있지 않다. 그것은 부패한 튀니지 세속 정권의 오랜 독재와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서의 억압적 이슬람 체제, 가족의 경제적 조건 안에서 조성된 취약한 돌봄 환경 같은 것이 고프란과 라흐마의 경험과 뒤섞여 빚은 결과일 것이다. 고프란과 라흐마, 또는 어머니 올파의 모순은 자신의 모순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외부 세계의 모순이 중층 결정된 하나의 양상이기도 하다.

이 영화를 보는 동안 염려하게 되는 것은 올파가 끊임 없이 책임의 자기 귀결로 빠질 위험이다. 가족 당사자의 자기 반영적 재현에 집중하는 이 영화가 일으킬 최악의 효과는 아마도 올파의 내적 파국, 빠져 나올 수 없는 자책의 지옥일 것이다. 잘못된 신념으로 행한 일에 대한 자기 기각의 수준보다 올파가 감당해야 할 자책은 외상적인 것에 가깝지 않을까. 그리고 올파는 외상적 자책을 이미 여러 번 반복하지 않았을까.

나는 그런 올파에게 필요한 것이 자책의 심연에서 빠져나오는 것, 자신이 호명되는 장소를 전면 수정하는 것, 그러기 위해 그 자리를 바라보는 자기 응시의 기회를 가지는 것이라 생각한다. 영화가 올파의 삶에 개입할 이유가 있다면 이를 돕는 데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나는 이 영화가 올파에게 할애하는 응시의 지평, 그 폭과 깊이를 아슬아슬한 마음으로 가늠하게 된다. 마지막에 올파의 대역 배우는 에야와 타이시르가 억압의 대물림을 끊는 세대가 될 것이라 말하고, 에야는 이 가족이 자신을 망치게 두지 않겠다고 말한다. 그 동안 어머니 올파가 할 수 있는 말은 없다. 그저 듣고 있을 뿐이다. 환영적 보충물로 완성된 가족의 무대에서 올파의 침묵이 자책과 응시 중 어느 장소의 것인지 나는 불안한 마음으로 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