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스틱 소녀백서>

이 영화는 어쩐지 슬프다. 이니드와 레베카가 짓궂은 장난을 치는 중에도 흘러 나오는 처연한 첼로와 피아노 선율 때문만은 아니다. 이니드가 좀처럼 마음에 들지 않는 세상 속에서 내 뜻대로 할 수 있는 것은 없다고 궁극적인 결론을 내리는 것과 그 다음에 따라오는 상징적 자살이라는 선택에서 일말의 절망을 느끼게 되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신비한 버스를 타고 떠난 이니드의 다음 삶이 못마땅한 세상을 견딜 만한 것으로 만들었을지 염려하는 마음이 남아서인지도 모른다. 어쨌든 <판타스틱 소녀백서>는 극도로 까다로운 사람 이니드를 둘러싼 엉뚱한 사건들보다 이니드의 마지막 판단과 선택이 던지는 잔향을 계속 생각하게 만든다.

이니드가 품고 있던 환상, 어느날 갑자기 홀연히 사라져 세상에서 자신을 삭제하고 새로운 삶을 도모하는 것에 대해 생각할 때면 나는 항상 슬라보예 지젝이 언급한 소설 <세계들의 상점>과 <말타의 매>의 일화가 떠오른다. <세계들의 상점>에서 주인공 웨인은 특수한 약을 이용하여 다른 차원의 삶을 경험할 수 있게 해 준다는 노인을 만난다. 웨인은 한 번 경험해 볼지 말지 깊은 고민에 빠진다. 가정사를 챙기고 일상을 영위하며 차일피일 미루면서도 그 생각 뿐이다. 그러던 어느 날 웨인은 잠에서 깨어 나고 노인은 만족스러운지 묻는다. 웨인은 당황하며 그렇다 답한다. 감자 배급을 받으러 서둘러 떠나는 웨인을 맞는 것은 핵전쟁으로 황폐해진 세계다. 한편 <말타의 매>에서 주인공 샘 스페이드는 건설 현장에서 죽을 뻔한 경험을 한 후 갑자기 직장과 가족을 버리고 사라진 한 남자를 찾아 달라는 의뢰를 받았던 일을 말한다. 그 때 샘 스페이드는 그 남자를 찾지 못했다. 그리고 몇 년 후 발견한 그 남자는 다른 도시에서 다른 이름으로, 그러나 놀랍게도 이전과 크게 다를 바 없는 삶을 살고 있다.

새로운 삶도 그토록 벗어나고자 한 것으로 돌아와 있다. 일반적인 지혜의 관점에서 단절은 이처럼 불필요한 일이지만, 지젝은 단절이 문제를 일으키면서까지 시도할 가치가 있다고 말한다. 과문한 내가 이 말을 제대로 이해하기란 어렵지만 위험을 무릅쓰고 말하자면, 아마도 지젝은 나라는 주체와 삶을 구성하고 지탱하는 욕망이 산산조각 나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면, 욕망을 위기에서 구하고 재구성하기 위해 삶의 단절은 필요한 일이라고 말한 것이리라. 설령 나로 하여금 욕망하게 만드는 그것이 공허한 표면에 불과할지라도, 그 공허한 대상에 대한 믿음을 다시 구축하기 위해 단절을 결행해야 한다고 말이다. 앞서 <말타의 매>의 그 남자가 새롭지만 다르지 않은 삶을 시작한 것이 가치 있는 일이라고 확신하는 것처럼.

이니드가 저지른 일들에 대한 책임을 뒤로 하고, 나는 그래도 이니드의 새로운 삶이 이들과 같기를 바란다. 그가 결행한 단절이 위기에서 자신을 구하기 위해 가치 있는 일이었다고 여기기를 바란다. 이니드를 태운 신비한 버스가 당도한 곳이 그저 또다른 유령의 세계일지라도, 머저리 같은 타인과 세계의 질서, 그리고 자기 자신에게조차 품었을 불만이 다시금 이니드를 무너뜨리지 않기를 바란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 고작 이 정도라는 것을, 현실의 공허한 표지에 욕망을 매달아 놓고 견딜 뿐이라는 것을 절망하지 않고 받아들일 수 있기를 바란다. 그것이 이니드가 단절 후 마주해야 할 다음 단계일 것이다. 나는 이니드의 그 후를 응원하고 싶다.

기술적 발전은 우리가 자연으로부터 훨씬 더 독립할 수 있게 해주지만 동시에 다른 차원에서는 자연의 변덕에 더 좌우되는 상태에 이르게 했다.

『팬데믹 패닉』, 슬라보예 지젝 지음, 강우성 옮김, 2020, 북하우스

“나를 만지지 마라”는 「요한복음」 20장 17절에 따르면 부활한 예수가 자기를 알아본 막달라 마리아에게 했던 말이라고 한다. 기독교를 믿지 않는다고 자처하는 나는 이 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우선 이 말을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그가 부활해 귀환하리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느냐고 물었을 때 그리스도가 내놓은 대답과 함께 묶어보련다. 그리스도는 당신을 믿는 자들 사이에 사랑이 존재하는 한 거기에 임재하리라고 말한다. 만질 수 있는 인간으로서가 아니라 사람들을 사랑과 연대로 묶는 존재로 임재할 것이다. 그러니 “나를 만지지 마라. 사랑의 정신으로 다른 사람들을 만지고 돌보라.”

그런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이 창궐하는 지금, 우리 모두는 다른 사람들과 접촉하지 말고 혼자 격리되어 있으면서 적절한 신체적 거리를 두라는 바로 그 요구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요청은 “나를 만지지 마라”는 명령에 비출 때 어떤 의미가 있는가? 손으로는 다른 사람에게 닿을 수 없다. 우리는 오로지 내면을 통해서만 서로에게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내면’에 이르는 창은 우리 눈이다. 요즘엔 우리가 누군가 가까운 (혹은 낯선) 사람을 만나서 적절한 거리를 두고 상대방의 눈을 깊이 들여다보면, 한 번의 친밀한 접촉보다 더 많은 것이 드러난다. 젊은 시절에 적은 한 단상에서 헤겔은 이렇게 썼다.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은 우리와 대립하지 않고, 우리 자신의 존재와 함께한다. 우리는 오직 그 사람 속에서 우리 자신을 보게 되지만, 한편으로 그 사람은 더 이상 우리가 아니다. 수수께끼고 놀라운 기적이다. 우리가 알 길이 없는.

이 [엇갈리는] 두 주장을 상반된 것으로 읽지 않는 일이 중요하다. 마치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이 부분적으로만 ‘우리’, 나 자신의 일부일 뿐이고, 또 부분적으로는 수수께끼라는 식으로 말이다. 사랑의 기적이란 당신이 내가 파악할 수 없는 기적으로 남아 있는 한에서, 또한 나에게뿐만 아니라 당신 자신에게도 수수께끼로 남아 있는 한에서 당신이 나의 나 됨의 일부분이라는 사실이 아닐까? 젊은 시절의 헤겔이 쓴 잘 알려진 구절을 하나 더 가져와보자.

인간 존재는 세상 모든 것을 그 단순한 형태로 간직하고 있는 이 밤, 이 텅 빈 무無다. 아무것도 그에게 속하지 않는, 혹은 현존하지 않는 수많은 표상과 이미지의 끝없는 보고寶庫다. 사람들의 눈을 물끄러미 들여다볼 때 우리는 이 밤을 알아챌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우리에게서 이것을 앗아갈 수는 없다. 그러니 육체적 거리두기가 타인들과 맺는 인간적 유대의 간절함을 오히려 튼튼하게 만들 것이라는 희망이 있다. 나와 가까운 많은 사람들을 멀리해야 하는 지금 비로소 나는 그들의 존재, 그들의 소중함을 완전히 체험한다.

이쯤 되니 벌써 냉소적 비웃음이 들리는 듯하다. 그래, 우리가 정신적 친밀감을 느끼는 그런 순간들을 경험할 수도 있겠지. 하지만 이게 계속되는 파국을 해결하는 데 무슨 도움이 되겠어? 우리가 여기서 무언가 깨달을 수 있을까?

우리가 역사로부터 배울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역사에서 아무것도 배울 게 없다는 사실이라고 헤겔은 썼다. 그러니 감염병 덕분에 우리가 더 현명해지리라는 주장은 의심스럽다. 한 가지 분명한 점은 바이러스가 우리 삶의 기반들 자체를 흔들어놓을 것이며, 엄청난 양의 고통은 물론 대불황the Great Recession보다 더 극심한 경제적 혼란을 불러일으킬 것이라는 사실이다. 일상으로 다시 돌아갈 길은 없고, 새로운 ‘일상normal’이 옛 우리 삶의 잔해들로부터 만들어지거나, 이미 조짐이 선명하게 보이는 새로운 야만에 접어들게 될 터다. 이 감염병을 하나의 재수 없는 사건으로 여겨서, 우리의 건강관리 체계를 약간만 조정한 채, 그 결과들을 삭제하고 예전처럼 매끄러운 일 처리 방식으로 돌아가는 것으로는 충분치 않다. 정곡을 찌르는 질문을 던져야 할 것이다. 과학자들이 수년에 걸쳐 경고했음에도 우리를 아무 대비 없이 파국에 빠지게 만든 우리 시스템은 뭐가 잘못된 것일까?

– 「나를 만지지 마라!」, 『팬데믹 패닉』 서문, 슬라보예 지젝 지음, 강우성 옮김, 2020, 북하우스